분명히 이전에 AWS 웹서버 한번 구축하면서 기록한 자료가 있을 것 같은데 없어서 다시 쓰는 포스팅입니다.

 

기본적으로 기록의 성격이 강하기 때문에 1차적으로는 글로 작성되며 나중에 차차 이미지 업로드 예정입니다.

 

직접 해보면서 업데이트 하는 내용입니다.

 

AWS 프리티어 사용에 맞추어 작성하였습니다.

AWS 프리티어는 신규가입 후 12개월간 월 750시간의 무료 이용시간을 줍니다. 하지만 한달 31일이라도 한달에 744시간 밖에 되지 않으므로 월 750시간 12개월 무료의 뜻은 1년간 무료로 AWS를 사용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1. 아마존 웹 서비스 시작하기

      1) https://aws.amazon.com/ko/에 접속합니다.

      2) 우측 상단의 주황색 버튼인 '콘솔에 로그인' 버튼을 누릅니다.

      3) aws계정이 없을 시 'aws계정 새로 만들기'를 눌러 계정을 새로 만듭니다. 이 과정에서 신용카드를 등록하는 부분이 나오는데, 해외 신용카드를 등록하여야만 진행이 되니 해외 결제가 가능한 신용카드를 입력합니다. 이후 1달러가 결제 되었다가 취소되며, 신용카드가 valid한지 파악하게 됩니다. 이때 결제 후 취소시기가 영업일 2~3일 혹은 한달정도 걸리는 경우도 있다고 하나, 취소는 제대로 되기 때문에 안심하셔도 됩니다. (만에하나 결제일까지 결제가 안되고 청구되는 경우에는 직접 문의를 하셔야 합니다.)

      4) MFA 설정 : 아이디를 만들게 되면 우선적으로 하셔야 하는 일은 MFA(Multi-Factor Authentication) 설정입니다. MFA라고 해서 뭔가 어려운 것 같지만 사실상 OTP의 개념입니다. AWS의 경우 사용량 만큼 돈을 내는 시스템이기 때문에 MFA를 설정하지 않은 채 사용하다가 해킹이라도 당하게 되면, 최고사양으로 서버를 세팅해버린 다음에 몇시간 동안 코인 채굴 돌리고 사라져버리는 해커 덕분에 몇 천만원(...)이 청구될 수도 있습니다. 그렇기에 MFA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4-0) 핸드폰 어플리케이션 중 MFA를 지원하는 어플을 깔아야 합니다. 간단히 OTP 어플을 까는 것 입니다. 아이폰/안드로이드 마켓에서 'Authenticator'를 검색하시면 구글에서 제공하는 어플이 하나 있습니다. 그것을 핸드폰에 까시면 됩니다.

            4-1) 먼저 AWS Management Console창으로 들어가게 되면(사실상 로그인 하고 바로 처음에 뜨는 페이지) 검색창이 하나 뜹니다. 여기에 'IAM'이라고 치시고 엔터를 누르면 IAM창으로 넘어갑니다. IAM은  Identity and Access Management의 약자로 그냥 '계정 보안' 페이지 정도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4-2) 그 창에서 바로 아래 보이는 '루트 계정에서 MFA활성화'를 누른 뒤 그 아래 있는 'MFA 관리' 버튼을 누릅니다.

            4-3) 페이지가 이동되며, '멀티팩터 인증(MFA)'을 선택하면 하단에 표가 한줄 나오는데 그 제일 오른쪽에 있는 '관리'를 누릅니다.

            4-4) 이후에는 페이지에서 요구하는대로 진행하시면 됩니다.

      5) 다시 AWS Management Console창으로 돌아와 이번에는 EC2를 검색하고 엔터를 누릅니다.

      6) 왼쪽 메뉴 중 '인스턴스'를 클릭합니다.

      7) 파란색 버튼인 '인스턴스 시작'을 누릅니다.

      8) 여기서는 우분투 프리티어를 사용할 것입니다. 단계1 페이지에서 'Ubuntu Server 18.04 LTS (HVM), SSD Volume Type'를 선택해 줍니다. 선택 방법은 제일 오른쪽의 파란색 '선택'버튼을 누르는 것입니다.

      9) '프리티어 사용가능'이라는 초록색 라벨이 붙은 t2.micro가 기본적으로 선택되어 있을 것입니다. 만약 유료로 더 좋은 성능의 웹서버를 사용하시고 싶으시면 하단의 다른 옵션들도 선택이 가능합니다.

      10) 여기서 바로 파란버튼인 우하단의 '검토 및 시작'을 누르셔도 되지만, 일단 회색의 '다음: 인스턴스 세부정보구성'으로 넘기시며 이 인스턴스가 어떤 설정을 가지고 있는지 확인해 보셔도 괜찮습니다. 특히 '4. 스토리지 추가'에서는 기본 8GiB의 저장공간을 제공하는 t2.micro이지만 무료로 30GiB까지 저장공간을 확장할 수 있다고 나와있습니다. 하지만 저는 항상 8GiB의 기본 설정만을 사용하여 보아서 30GiB는 사용해 본적이 없습니다. 혹시 사용해보시고 무료임이 확인되면 제보주시면 수정하겠습니다.

      11) 나중에 인스턴스를 만든 뒤 왼쪽 메뉴 중 '보안그룹'에서 수정할 수도 있지만 만들때 바로 보안그룹을 만들어 줄 수 있습니다. 보통 서버에서 나가는 포트인 '아웃바운드 포트'는 전부 개방시키고, 외부에서 서버로 들어오는 '인바운드 포트'를 막아 서버를 보호하곤합니다. 여기서는 인바운드 포트 중 80번 8888번 22번 20-21번의 4-5개의 포트를 개방합니다.

            80번 포트의 경우 HTTP포트로 만약 AWS서버로 홈페이지를 사용하실 경우 개방해주시면 되는 포트입니다.

            8888번 포트의 경우 jupyter notebook이 사용하는 포트입니다. 만약 원격으로 jupyter notebook을 사용하시려는 경우 80번 포트와 8888번 포트를 개방하여 주시면 됩니다.

            22번 포트의 경우 SSH포트입니다. 즉 아무나 서버에 관리자로 접속하지 못하고, 인증된 사용자만 접속할 수 있게 인증을 진행하는 포트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앞으로 나올 .pem 파일과 같은 인증 파일을 기반으로 접속합니다.

            20-21번 포트는 FTP포트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나중에 filezila등으로 웹서버에 접속하여 파일을 올리고 내릴 때 사용합니다. 사실 AWS자체에서 파일을 업로드 및 다운로드 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고 있고, 심지어는 CLI(Command Line Interface)상에서 바로 파일을 업로드/다운로드 할 수 있지만, GUI환경에서 사용하기 번거롭고 귀찮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filezila등의 FTP프로그램을 사용시 상당히 편리하게 file들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이 모든 포트를 적용하였을 경우 AWS상에 아래와 같은 보안그룹이 생성됩니다. 4개 포트 개방에 8줄이 생성된 이유는, 사실 AWS상에서 미확인 상의 이유로 0.0.0.0/0을 가지고 만들게 되면 ::/0라는 것도 동시에 생성되서 그렇습니다.

HTTP TCP 80 0.0.0.0/0
HTTP TCP 80 ::/0
사용자 지정 TCP 규칙 TCP 8888 0.0.0.0/0
사용자 지정 TCP 규칙 TCP 8888 ::/0
SSH TCP 22 0.0.0.0/0
SSH TCP 22 ::/0
사용자 지정 TCP 규칙 TCP 20 - 21 0.0.0.0/0
사용자 지정 TCP 규칙 TCP 20 - 21 ::/0

      12) 그렇게 '보안그룹'까지 설정을 마친 뒤 '검토'에 들어간 뒤 '시작'을 누르게되면 '키 페어 생성' 팝업이 뜰 것입니다. '새 키페어 생성'이 처음 만드셨을 경우 기본적으로 선택이 되어 있으실 텐데 '키 페어 이름'을 입력하시고 '키 페어 다운로드'를 누르시면 '지정하신 키 페어 이름.pem'파일이 자동적으로 다운로드 될 것입니다. 이 .pem파일이 나중에 AWS로그인에 필요한 파일이 되니 정확한 위치에 잘 저장하셔야 합니다. 이 .pem파일이 없을 경우 AWS에 관리자로 접속할 수 없습니다.

      13) 키 페어까지 다운로드가 완료되었다면, 새 인스턴스가 만들어집니다. 쉽게 말해 아마존 서버실에 만드신 분의 컴퓨터가 가상으로 생성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이제 시작과정을 거쳐서 몇 분 뒤면 제대로된 linux 컴퓨터 한대가 작동되는 상태입니다.

      14) 인스턴스는 몇 분마다 갱신되는 퍼블릭 IP를 가지고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쫄려서 실험해보지는 않았습니다만 이 상태로 사용할 시 퍼블릭 IP사용에 대한 요금이 청구된다고 하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왼쪽 메뉴에서 '탄력적 IP'를 선택하여 줍니다.

      15) '새 주소 할당'을 눌러주시고 그냥 바로 '할당'을 다시 눌러주시면 탄력적 아이피가 하나 생성이 됩니다.

      16) 이후 '새 주소 할당' 옆에 있는 '작업'에서 '주소 연결'을 눌러주시고 {리소스 유형: 인스턴스, 인스턴스: 방금 만든 인스턴스(현재 하나의 인스턴스밖에 만들지 않았으므로 그냥 클릭하면 나오는 거 하나), 프라이빗 IP: 그냥 클릭시에 아래 하나 나오는 IP}를 차례로 선택해 주신 뒤에 '연결'을 눌러주시면, 제 인스턴스에 퍼블릭으로 접속할 수 있는 IP가 생성된 것입니다. 만약 이 과정을 거치지 않으시면 aws에 cli로 연결시나, ftp서버 연결 시 매번 바뀌는 public ip를 잡아서 연결해야 하지만, 이 과정 이후에는 단 하나의 ip로 제 인스턴스가 연결됩니다.

 

 

 

 

처음에 생각했던 것보다 글이 엄청 길어지네요.. CLI연결이나 그 이후 부분은 차후에 다시 포스팅 하도록 하겠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