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 우분투 18.04 설치하기!

 

사실 요새 OS설치는 갈수록 쉬워지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느정도는 가이드가 있어야 설치가 더 쉬워지기 때문에 이 글을 작성합니다.

 

1) 먼저 Ubuntu OS 설치 USB를 만들어주어야 합니다.

이는 https://omnil.tistory.com/151를 참조하시면 됩니다.

 

2) 이후에는 usb를 컴퓨터에 연결하고 bios세팅에서 usb를 부팅디스크로 잡아주면 됩니다.

보통 부팅 후 F2키를 연타하면 bios로 넘어가고 여기서 바이오스마다 다르지만 boot settings와 같은 메뉴에서 부팅 순서를 변경하던가, 직접 부팅할 디스크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 윈도우즈와 다르게 설치하면서 자동으로 꺼졌다 켜졌다하지 않고, 우분투는 한번에 쭉 설치하니 한번만 부팅 디스크로 설정해줘도 괜찮습니다.

 

3) install ubuntu 선택

처음 화면은 까만색 도스창에서 펼쳐지는 grup창입니다. 기본적으로 우분투 트라이얼 버전이 선택되어있고, 약 10초간의 자동선택 시간이 있습니다. 저희는 직접 우분투를 설치할 것이므로 그 아래 install ubuntu를 선택하여줍니다.(한번 선택을 변경하면 자동 선택시간은 사라집니다.)

 

4) 언어선택

그러면 보라색 화면이 나오면서 ubuntu로고가 뜰 것입니다.

이후 인스톨 화면의 처음은 언어선택입니다.

한국어로 하셔도 괜찮지만, 가장 기본적인 영어로 선택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그래서 이후의 과정은 '영어'를 기준으로 설명드립니다.

(물론 한국어로 설치하신 뒤 영문으로 시스템을 돌리는 방법도 있고, 영문으로 설치 뒤 한글로 변경하는 방법 두가지 다 존재합니다.)

한국어로 설치시에는 설치 과정이 한글로 안내되어 설치의 체감 난이도가 확 낮아지는 것이 장점입니다.

 

5) 키보드 선택은 English(US)

딱히 맥에서 듀얼부팅을 하신다거나 하신 것이 아니시면 그냥 English(US)설정해주시면 됩니다. (맥의 경우 English - Machintosh 선택해주시면 됩니다.)

* 참고로 맥북에서 리눅스는 2015버전 맥북까지는 자동으로 드라이버를 잡지만, 그 이후 맥북(뉴 맥북)은 따로 드라이버를 설치하셔야 합니다. 즉, 설치시 따로 usb 직렬 마우스와 키보드가 없으면 설치가 불가능합니다.

 

6) 인터넷 연결

리눅스는 인터넷 연결 후 설치하시는 편이 좋습니다. 자잘한 버그픽스나 업데이트등을 설치하면서 자동으로 진행해주기때문입니다.

인터넷 글 중에 무선랜 오류가 있어서 유선랜으로 진행하여야만 한다는 글이 있는데, 제가 설치해본 결과로는 꼭 유선랜을 고집할 필요가 없습니다. 유선 랜이 연결되지 않았으면 자동으로 무선랜을 잡고 와이파이 연결시도합니다.

그러나 안전하게 설치하시려면 유선랜으로 진행하시고, 만약 이 과정에서 무선랜을 못잡거나 무선랜에서 와이파이에 접속이 되지 않는경우 유선랜으로 진행하시는 편을 추천드립니다.

 

7) 설치 형식

7-1) 다른 OS 없이 처음 우분투를 설치하는 경우

Erase disk and install ubuntu를 선택하시고, 아래 체크박스는 하나도 선택하지 않으시고 진행해주시면 됩니다.

7-2) 다른 OS 위에 듀얼로 우분투를 설치하는 경우

제일 아래 '기타'를 선택하신 뒤 다음으로 넘어가 파티션 설정을 해주시면 됩니다.

물론 이 과정 전에 우분투를 설치할 파티션을 따로 설정해주셔야 합니다. 윈도우즈의 디스크매니저나 맥의 디스크 유틸리티에서 진행해주시면 됩니다.

관련 포스팅: https://omnil.tistory.com/153

 

8) 기타 설정

위의 과정이 가장 복잡한 과정이며, 이후에는 현재 시간을 표시할 시간대를 설정하고, 유저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설정하는 것만 남아있습니다.

이 과정 뒤에 본격적인 설치가 진행되고, 설치가 완료되면 재부팅 해야한다는 메시지가 뜹니다.

컴퓨터가 재부팅 과정에서 완전히 꺼지면 설치 usb를 제거해주시고(그 전에 제거하면 remove media, then restart와 같은 메시지가 표시되며 꺼지지 않습니다. 이때는 강제 종료 후 부팅해주셔도 크게 문제가 없습니다.) 다시 부팅되면 우분투가 깔린 것을 알 수 있습니다.

 

9) 한국어로 설치시

한국어로 설치시에는 설치과정의 가독성의 증가 및 한글 패키지 자동 설치 등의 이점이 있습니다만, 파일 이름이 전부 한글로 설정되어버립니다.

이 한글 파일명은 초기에 한글 키보드 사용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파일 시스템을 찾아가기에 힘들 뿐더러, 가끔 어떤 앱의 설치시에 에러가 나기도 합니다.

그래서 기본 폴더명을 영어로 바꿔주게 되는데, 이때 간단하게 할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code>export LANG="C"</code>

<code>xdg-user-dirs-gtk-update</code>

이 두줄의 명령어를 실행하시고 재부팅하시면

위와 같은 창이 뜹니다.

여기서 Don't ask me this again에 체크하시고 Update Names 버튼을 눌러주시면 폴더명 변경이 완료됩니다.

 

다음과정에서는 만약 nvidia그래픽 카드가 깔린 컴퓨터의 경우 드라이버의 설치법과 한글 혼용 언어설정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Linux/Ubuntu/Windows] 우분투 듀얼부팅 설치방법! (윈도우즈 10기준)

 

윈도우즈를 이미 깐 PC에서 우분투를 듀얼부팅으로 사용하기 위해 설치하는 방법입니다.

 

사실 이 부분은 우분투 설치 방법 중 1) 듀얼 부팅을 위한 파티션 설정2) 리눅스 설치 중 해당 파티션 선택 및 설치의 두 부분만 다르기 때문에 두 부분만을 집중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1) 듀얼 부팅을 위한 파티션 설정

윈10기준이므로 윈도우즈의 디스크매니저에서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드립니다.

윈도우즈의 실행(windows키+r)에서 diskmgmt.msc를 입력합니다.

실행하면

이와 같은 창이 뜨는데요, 여기서 윈도우즈와 듀얼부팅을 위해서 윈도우즈가 깔린 디스크에서 볼륨축소를 선택해줍니다.

그리고 원하는 만큼을 축소하게 되면, 검은색 띠가 생긴 블럭이 따로 생길 것입니다. 저희는 여기에 우분투를 설치할 것입니다.

 

2) 리눅스 설치 과정 중 듀얼 OS 설치

리눅스 설치 과정 중 '설치 형식' 과정에 도달하면(디스크를 다 지우고 우분투를 깔건지 등등) 제일 아래 '기타'를 선택해줍니다.

그리고 다음과정으로 넘어가게 되면, '파티션 할당'이라는 메뉴가 나오게 됩니다.

여기서 '남은 공간'을 클릭하신 뒤 창 좌하단에 있는 "+"버튼을 눌러주세요.

'파티션 만들기' 창이 뜨면 크기는 건드리지 마시고(자동으로 최대크기로 세팅되어 있습니다.)

새 파티션의 종류: 논리 파티션 선택

새 파티션의 위치: 이 공간이 시작하는 지점 선택 (기본적으로 세팅되어있으나 확인필요)

용도: EXT4 저널링 파일 시스템 선택 (기본적으로 세팅되어있으나 확인필요)

마운트위치: / [처음엔 빈 공란으로 되어있습니다. 클릭 후 "/"를 써 주세요.]

그리고 나서 OK 버튼을 눌러주시면 자동으로 세팅이 되며, 이후에 지금설치 버튼을 눌러주시면 설치가 진행됩니다.

지금 설치 버튼 클릭 후 경고창이 뜨는 경우에는 그냥 넥스트 눌러주시면 됩니다.

sudo apt install gnome-tweak-tool

gsettings set org.gnome.shell.extensions.dash-to-dock click-action 'minimize'

[Linux/Ubuntu] Ubuntu OS 설치 USB 만들기!

 

우분투를 PC에 설치하기로 마음먹으셨다면 우선 Ubuntu OS 설치 USB를 만들어 주셔야합니다.

 

이는 거의 모든 OS설치시에 필요한 것입니다.(가끔 Mac에서 부트캠프로 윈도우를 설치하는 경우 따로 USB를 만들지 않고도 바로 설치가 가능한 경우같은 예외가 있기는 합니다.)

 

여기서 '설치 USB'라는 것은 '부팅가능한(Bootable)' USB를 만든다는 뜻으로, 단순히 파일을 옮기거나 복사붙여넣기 하는 것이 아닙니다.

 

블로그의 정체성에 따라 순서대로 나열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1) ISO파일을 다운로드 받는다!

저희는 우분투 18.04를 설치할 것이므로, http://releases.ubuntu.com/18.04/ 여기에 접속하셔서 데스크탑 이미지를 받으시면 됩니다.

 

2) 설치가능한 USB를 만들어주기!

2-1) USB 선택!

설치가능한 USB를 만들어주게되면, 해당 USB내에 저장된 모든 것이 싹 포맷되며, OS의 ISO만 설치가능한 형태로 써지게 된다. 그러기에 해당 ISO파일 크기보다 크지만, 내용은 없는(혹은 백업한 뒤의) USB를 고르는 것이 중요하다.

 

2-2) Rufus설치!

설치가능한 USB(Bootable USB)를 만들 수 있는 프로그램은 많지만, 공식적으로 ubuntu에서 제시하는 프로그램은 rufus이다.

https://rufus.ie/에 접속하면 한글로 친절하게 모든 설명이 나와있다.

여기서는 rufus 설치파일을 다운로드 받아서 설치해도 상관없고, Portable(한글 번역 '이동식') 버전을 받아도 상관없다.

둘의 차이라면 설치파일은 컴퓨터에 설치 후에 실행하는 것이고 Portable은 그냥 바로 실행이 된다는 점?

기본 설정법도 홈페이지에 나온 그대로 놓고 작업하면된다.

처음에 장치를 선택해주고 부트 선택에서 우리가 다운로드 받은 ubuntu-18.04 iso파일만 잘 선택해주고 아래 시작만 눌러주면 끝.

<출처: https://rufus.ie/>

이렇게 해서 상태에 완료가 뜨면 부팅 USB 만들기는 성공했다. 이제 직접 OS를 깔 차례!

[Mac/Mac book/Mac book pro] 부트캠프로 윈도우즈 설치 후 윈도우즈에서 OSXRESERVED디스크가 안보일때 대처법

 

이번에 리눅스 깔아본다고 하다가 윈도우 홀랑 날리고 맥에서 윈도우 다시 밀고 부트캠프로 다시 깔았습니다.

 

그런데 파티션 병합할때 뭔가 *표시 되어있는 파티션까지 병합해버렸더니, 윈도우를 부트캠프로 나눈 뒤 OSXRESERVED가 제대로 뜨지 않아 드라이버를 제대로 설치할 수가 없더군요.

 

그래서 방법을 강구해보았습니다.

 

정말 쉽습니다. 요지는 USB에 관련 드라이버를 받아서 윈도우에서 USB로 설치하는 것입니다.

 

1) 맥에서 '부트캠프 지원'을 실행한다. (Command + Shift + U해서 열리는 유틸리티 창에서 찾아서 실행할 수도 있고, spotlight로 검색하여 실행할수도 있습니다.

2) 상단 상태표시줄에서 '동작'을 눌러 드라이버를 USB에 다운 받습니다.

3) 윈도우즈로 부팅후에 이 USB에 있는 파일 중 'Setup'을 실행하면 윈도우즈 드라이버가 전부 설치됩니다.

 

해결!

[VM/Linux] Windows 환경에 Virtual Machine을 이용해서 Ubuntu(Linux) 설치하는 법

 

1. [VMWare 다운받기] VMWare workstation 홈페이지에 접속합니다.
https://www.vmware.com/kr/products/workstation-player/workstation-player-evaluation.html

 

VMware Workstation Player 다운로드 | VMware

VMware Workstation Player 15 VMware Workstation Player는 Windows 또는 Linux PC에서 단일 가상 머신을 실행하기에 가장 적합한 유틸리티입니다. 조직은 Workstation Player를 사용하여 관리형 기업 데스크톱을 제공할 수 있으며, 학생과 교육 관계자는 학습 및 교육을 위해 사용할 수 있습니다. 무료 버전은 비상업적적인 개인 및 가정용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VMware는 또한 학생들과 비영리

www.vmware.com

2. [VMWare 다운받기&설치] 윈도우 버전을 클릭하여 다운 받은 뒤, 실행 후 next를 눌러서 설치를 완료합니다.

3. [Ubuntu 다운받기] VMware가 설치되는 동안 Ubuntu 홈페이지에서 16.04 LTS 버전 64-bit Ubuntu ISO 파일을 다운받습니다. (64-bit PC (AMD64) desktop image 링크 클릭) [다운받게 되면 뭔가 zip프로그램에서 열 것 처럼 나와있는데, 얘는 압축풀면 안됩니다! 나중에 나올 iso disc image 올릴 때 iso 그대로 사용하는 겁니다.]
http://releases.ubuntu.com/16.04/

 

Ubuntu 16.04.6 LTS (Xenial Xerus)

Select an image Ubuntu is distributed on two types of images described below. Desktop image The desktop image allows you to try Ubuntu without changing your computer at all, and at your option to install it permanently later. This type of image is what mos

releases.ubuntu.com

4. VM웨어가 설치되었으면, 바탕화면에 화살표 3개짜리 VMWare Workstation을 실행해줍니다.

5. [Ubuntu VMWare에 설치하기] VMWare Workstation이 실행되면 Player -> File -> New Virtual Machine을 클릭합니다.

5. [Ubuntu VMWare에 설치하기] Installer disc image file란의 Browse버튼을 눌러 다운받은 iso 파일을 선택하여 open한 뒤 next를 눌러줍니다.

6. Full name, username, password에 linux 계정정보를 입력합니다.

7. next 버튼을 눌러서 진행합니다.

8. Maximum disk size를 설정합니다. (최소 20GB 이상으로 설정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9. next 버튼을 누르고 Finish 버튼을 눌러서 설치를 완료합니다.

10. Software update 팝업창이 나오면 Download and Install 버튼을 누릅니다.

11. 설치가 진행됩니다.

12. 설치가 완료되면 설정한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로그인합니다.

13. ubuntu가 제대로 설치되었습니다.

14. 다음부터는 VMWare Workstation을 실행한 뒤 목록에서 'Ubuntu 64-bit'를 더블클릭해주시면 자동으로 부팅이 됩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