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수식(박사가 사랑한 수식, 오일러 항등식)
0. 서론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수식 혹은 박사가 사랑한 수식을 아시나요?
바로 오일러 항등식(Euler's identity)
$ e^{\pi i}+1 = 0 $인데요(관련글 복소수 평면에서의 오일러 공식(Euler's formula))
왜 가장 아름다운 수식이라고 했을까요?
오늘은 이 이유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오일러의 공식에서 오일러 항등식으로 변형
오일러의 공식은 $ e^{ix} = \cos x + i \sin x $입니다.
그리고 여기서 x에 $ \pi $를 대입하면, $ e^{\pi i} = -1 $를 얻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1을 이항하면(혹은 1을 양변에 더해주면) $ e^{\pi i} +1 = 0 $이라는 오일러 항등식이 만들어집니다.
참고로 항등식(identity)이라는 말은 '기호의 조작 없이 항상 참인 형태의 수식'을 의미합니다.
여기서 $ e^{\pi i} = -1 $은 왜 따로 안부르고, $ e^{\pi i} +1 = 0 $만 오일러 항등식이라고 부를까요?
두 가지 가능성 있는 이야기를 해보겠습니다.
1-1. 대입 결과 vs 자명한 등식
$ e^{\pi i} = -1 $는 사실 오일러 공식 $ e^{ix} = \cos x + i \sin x $에서 $ \pi $를 대입해준 결과에 불과합니다.
즉, 오일러 공식의 한가지 대입 결과(=특수 케이스)라고 볼 수 있는 형태이지요.
그러나, $ e^{\pi i} +1 = 0 $는 오일러 공식에 값을 대입한 결과를 "자명한 등식" 형태로 재정리한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렇게 재정리된 식을 따로 '오일러 항등식'이라고 명명해 준 것이죠.
1-2. '0(無)'과 관계짓기
$ e^{\pi i} = -1 $ 자체로도 충분히 아름답습니다.
그러나 수학자들은 '+1=0' 형태로 이항하여 '0(無)'과의 관계를 만드는 것을 선호합니다. 이는 모든 중요한 요소들이 더해져 완벽한 '없음'의 상태, 즉 균형을 이룬다는 철학적 의미를 더하기 때문입니다.
실제로도 어떤 방정식을 푼다고 하면 '=0'으로 놓고 푸는 것이 일반적이고, 이런 것들이 '자명한 등식'이라는 느낌에 암암리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을까 싶습니다.
2. 5개의 가장 기초적이고 중요한 수를 모두 포함
이 하나의 수식에 아래의 상수가 모두 들어 있습니다:
- $ e $ : 자연로그의 밑, 미적분과 자연성장의 핵심
- $ i $ : 허수 단위, 복소수 체계의 근간
- $ \pi $ : 원주율, 기하학과 주기성의 상징
- $ 1 $ : 곱셈 항등원, 수의 단위
- $ 0 $ : 덧셈 항등원, 무의 개념
이 5개는 각각 다른 수학적 영역을 대표합니다. 그들이 하나의 방정식에 조화롭게 등장하는 것은 극히 드문 일입니다.
3. 최소한의 수식으로 최대한의 의미 전달
이 수식은 다음의 특성을 모두 만족합니다:
- 등식(=)
- 지수함수
- 복소수
- 원주율
- 음수
- 항등식 형태
즉, 구조적으로 단순하면서도 의미적으로는 극단적으로 복잡하고 깊이 있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4. 해석학, 대수학, 복소수, 삼각함수, 위상수학까지 아우름
이 수식의 기원은 복소수 평면에서의 오일러 공식:
$ e^{ix} = \cos x + i\sin x $
입니다.(관련글 복소수 평면에서의 오일러 공식(Euler's formula))
여기서 $ \pi $ 를 대입하면 자연스럽게 오일러 항등식이 됩니다. 즉,
$ e^{i\pi} = -1 \Rightarrow e^{i\pi} + 1 = 0 $
이것은 복소수의 극형태 표현, 삼각함수와의 연계, 그리고 지수함수의 본질까지 포괄합니다.
5. 수학자들이 ‘신의 언어’라고 불렀을 정도로 완벽한 조화
리처드 파인만(Richard Feynman)은 이 수식을 "수학에서 가장 놀라운 공식"이라 칭했습니다.("Feynman once described Euler's identity as 'our jewel' in mathematics") 또 다른 수학자들은 이 수식을 "수학이 예술과 과학의 경계에서 빛나는 순간"이라고 평합니다.
6. 실제 응용성과 철학적 깊이 모두 갖춤
이 수식은 단지 아름답기만 한 것이 아니라, 파동 이론, 양자역학, 신호처리, 회전군 이론, 푸리에 해석 등에서도 핵심 역할을 합니다.
철학적으로도, “무(0)”와 “존재(1)”, “무한한 성장($e$)”, “회전과 순환($\pi$)”, “상상($i$)”이 함께 관계를 맺고 있다는 해석도 존재합니다.
7. 결론: 왜 아름다운가?
서로 다른 영역의 근본적인 수학 개념들이 극도로 단순한 형태로 만났기 때문입니다.
마치 우주와 시간, 존재와 무, 실재와 상상이 단 하나의 언어로 압축된 듯한 느낌을 주기 때문에, 이 수식을 보고 많은 수학자들이 "숭고함" 혹은 "경외심"을 느끼기 때문이죠..!
혹시 "아니 이 식이 왜 아름다운거야?" 싶으셨던 분들! 이 포스팅으로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Study > Mathemati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각함수의 일반각(18도, 36도) 구하기 (0) | 2025.08.08 |
---|---|
삼각함수의 3배각 공식 증명(feat 오일러&드무아브르 공식) (0) | 2025.08.07 |
복소수 평면에서의 오일러 공식(Euler's formula) (0) | 2025.07.27 |
사원수(Quaternion)란? ~허수에서 출발하는 차원확장~ (0) | 2025.07.22 |
어서오세요! 힐베르트 호텔에! ~무한의 세계로 떠나는 여행~ (0) | 2025.07.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