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고 다시 carbamyl 은 carbo + -amide의 carbamide(Urea, 요소)에서 질소 하나가 제거된 잔기의 형태이므로 -yl을 붙였다.
또한 모핵을 이루는 3환의 dibenzoazepine 중에서 뒤의 azepine을 가지고 와서 carbam-의 뒤에 붙였다.
dibenzoazepine은 다시 di+benzo+az-+(h)ep(ta-)+-ine으로 분류되는데, di는 두개, benzo는 벤젠기가 직접 붙어있는 형태를 말하고, az-는 azo기도 있지만, 사실 질소가 들어간 물질에 다 쓸 수 있는 말이므로 거기에서 az를 가져왔고, 7을 뜻하는 hepta-에서 ep를 가져왔고, 질소가 붙은 물질의 어미로 자주 쓰이는 -ine을 조립하여 만든 말이다.
그리고 사실 화학구조에서 7개의 탄소로 이루어진 기본 구조를 heptane이라고 하는데, 이것은 프랑스 말로 '7개로 구성된'이라는 뜻에서 가져왔다고 한다. 그러나 영어에서도 많이 쓰인다.
맨 앞의 O는 출처가 불분명하다. 그러나 thienobenzodiazepine에 달린 잔기가 1-methylpiperazine이므로 맨 앞의 one의 O일 것이라는게 높은 확률로 추측이 된다.
lan은 피페라진 구조에서 ran을 가져오지만, 맨 앞의 O와 붙어 r을 l로 바꾸어서 사용한 것으로 추정되며, 구조중에서 가장 메인이 되는 3환계 구조의 이름은 thienobenzodiazepine에서 azepine을 가져온 것으로 보인다. 여기서 다시 azepine을 zapine으로 애너그램 및 모음 변경. 뒤에 azepine -> zapine 변경은 비정형 항정신병제인 클로자핀(clozapine) 등에서도 보인다.
Diazepine은 di-az(o)-(h)ep(ta)-ine으로, 위 이미지에서 보이듯, '두개의 azo가 붙은 7각의 질소가 들어간 구조'란 뜻이다. 위의 구조는 1,4 diazepine 구조이며, 1,3 혹은 1,2 위치에도 질소가 배열될 수 있다.
azo기는 질소질소 이중결합에 쓰이는 말이지만, 탄소가 끼어들어가며 공명구조를 이루었을 때 그 구조를 diazo-라고 부르는 듯 하다.
참고로 -ine의 사전적 뜻은 'forming names of alkaloids, halogens, amines, amino acids, and other substances.' 즉, 알칼로이드나 할로겐, 아민, 아미노산 과 같은 물질에 붙는 접미사이다. 보통 질소를 기반으로 한 구조에 잘 붙는다.
이 기본 모핵에 benzo기와 thieno기가 붙어 커다란 thienobenzodiazepine기를 만들고 여기에 1-methylpiperazine이 붙어 만들어지는 구조이다.
리스페리돈이 속한 2세대 혹은 비전형이라고 불리는 항정신병 약물은 세로토닌-도파민 길항제(antagonist)이다. 1세대 도파민 수용체 길항제(DRAs)보다 D2 수용체에 대한 세로토닌(5-HT2) 수용체 차단 비율이 높다. (세로토닌 더 많이 길항) 비전형 항정신병 약물은 다른 수용체와 결합하여 나타나는 추체외로 증후군이 더 적게 나타나므로 자주 처방되는 편 그러나 리스페리돈은 다른 2세대 항정신병 약물보다 추체외로 증상이 잘 나타나는 편이다.
앞쪽의 Pheno부분은 당연히 바비탈 구조에서 옆에 달린 페닐기가 근거이며 여기에 흔하게 쓰는 접두 모음인 o를 붙여서 페노를 만들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노트할 때는 약어로 줄여서 썼지만, 아래 위키피디아에서 가져온 이미지에서 볼 수 있듯이 사실 제대로 페닐기가 붙어있습다.
요새는 검색이 더 쉬워져서 처음 어원을 찾아보던 2014년과는 전혀 딴판으로 굉장히 쉽게 찾을 수 있어 이 포스팅을 쓰면서도 더욱 많은 정보들을 얻게 됩니다.
뒤쪽은 barbital의 경우 어원의 어원이 존재하는 형태입다.
먼저 barbital을 쪼개면 barbituric acid와 Veronal의 두 부분으로 쪼갤 수 있습니다.
먼저 barbituric acid는 구조에서 보이듯이 uric acid(요산)에서 오른쪽 환의 구조와 유사합니다. 여기에 Barbara라는 여성형 이름이 합성되어서 만들어진 것이 barbituric acid입니다.
처음 합성자는 Adolf von Baeyer이며, 여기서 Barbara라는 이름이 왜 붙었는지는 아직까지도 의견이 분분한데, 위키피디아에 따르자면
1) Louis Frederick Fieser는 초기에 Schlüsselbart라는 독일어에서부터 왔을 것이라고 추측하였다.
Schlüsselbart라는 말은 문자 그대로는 the beard (Bart' Latin: barba) of a key (Schlüssel)이며, 그 뜻을 풀어 써보면 열쇠(a key)의 부분(the bit)이라는 뜻이다. 이는 Baeyer가 이 barbituric acid가 요산과 그 파생물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키라고 여겼기 때문이라고 했다.
2) 그러나 곧이어 Louis Frederic Fieser는 Baeyer가 젊은 여성인 Barbara를 만난 뒤 이 화합물의 이름을 지었다고 하였다.
3) 성 바바라의 날(the feast day of St. Barbara, 12/4)에 이 화합물을 발견하여 Barbara라는 이름을 차용하였다.
4) 포병장교와 가끔 점심을 함께 하였는데, 포병의 수호성인(patron saint)이 성 바바라(St. Barbara)여서 여기서 차용하였다.
등 여러가지 썰이 많은 상태입니다.
Veronal은 독일의 바이엘(Bayer)사에서 barbituric acid를 가지고 케톤 사이의 탄소에 에틸기 두개를 붙여서 처음으로 시판한 바비탈계 약물의 상품명입니다.
즉, Baeyer가 Barbara와 uric acid라는 이름을 합쳐 Barbituric acid(Barbiturate)라는 이름을 만들었고(-ric acid는 -rate와 동일한 말입니다.) 여기서 처음으로 약물로 시판한 상품명인 Veronal의 al을 붙여 barbital이라는 계열의 약물이 생성되었습니다. 여기서 다시 barbital에서 에틸 잔기를 하나 없애고 거기에 페닐잔기를 붙인 뒤 Pheno라는 접두어를 붙여 Phenobarbital이라는 약물명이 탄생하게 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