π가 없는 식에서 π를 만든다고? 샌드위치 정리로 증명하는 1+1/4+1/9+... = π²/6
0. 서론: 대학 수학 없이 증명하기
제곱수의 역수를 모두 더하면 원주율의 제곱을 6으로 나눈 값이 된다는 기묘한 등식, $\sum \frac{1}{n^2} = \frac{\pi^2}{6}$.
바젤 문제라고도 알려져 있는 이 문제!
아마 이 증명을 찾아보면 대부분 푸리에 급수, 테일러 급수 등 복잡한 대학 수학을 이용해 설명할 겁니다. 하지만 이 문제가 처음 풀렸을 때는 그런 도구들이 없었다면 믿으시겠어요? 오늘은 고등학교 과정에서 배우는 삼각함수와 샌드위치 정리(조임 정리)만을 이용해 이 문제를 증명해 보겠습니다. 수학자들이 말하는 가장 '초등적(elementary)'인 증명법, 함께 따라가 보시죠!
1. 핵심 재료: 마법의 부등식
모든 증명은 마법 같은 부등식 하나에서 시작합니다. 바로 이것이죠.
\begin{align}
\cot^2(x) < \frac{1}{x^2} < \csc^2(x)
\end{align}
이 부등식은 삼각함수 극한에서 배우는 $\sin(x) < x < \tan(x)$로부터 유도할 수 있습니다.
(단위원을 그려놓고 본다면 한방에 이해됩죠! 작은 삼각형의 넓이<부채꼴의 넓이<큰삼각형의 넓이 에서 유도됩니다.)
자세한 과정은 생략하지만, 이 부등식이 바로 오늘의 주인공인 '샌드위치'의 양쪽 빵 역할을 합니다.
가운데 우리가 구하고 싶은 값($\sum \frac{1}{n^2}$)의 재료가 되는 $\frac{1}{x^2}$이 끼어있는 것을 확인하세요!
2. '빵'의 값 계산하기: 드무아브르의 마법
접근 전략은 다음과 같습니다.
핵심 부등식 만들기 > 값을 아는 유한 급수 만들기 > 극한 취하기(무한 급수로 만들기)
1단계는 위에서 마쳤으니, 이제 2단계인 '값을 아는 유한 급수 만들기', 즉 빵을 구하러 가봅시다.
1) cot²x의 합 구하기
자~ 양쪽 빵을 구해야하는데, 사실 양쪽 빵이 다르죠?
근데 재밌는 사실은 양쪽 빵은 서로 항등식에 의해서 연결되어 있답니다.
$ \csc^2 x = \cot^2 x + 1 $인데요, 이건 $ \sin^2 x + \cos^2 x = 1 $이라는 정말 유명한 삼각 항등식에서 모든 항을 $ \sin^2 x $로 나누면 바로 나오죠?
그렇다면, 우리는 둘 중 하나만 구하면 됩니다. 그러면 뭐가 더 쉬울까요?
기본적으로 '삼각함수의 지수'를 다룰 때 사용되는 대표적인 방정식이 '드무아브르 방정식'이고 이걸 이용했을 때, cos과 sin의 조합으로 수가 전개된다는 걸 보면 사실 cot가 조작하기 더 쉬운 함수란 걸 알 수 있죠! $ \cot x = \frac{\cos x}{\sin x}$ 이고 $ \csc x = \frac{1}{\sin x} $이므로, cos과 sin항이 곱셈으로 붙어 나올 때, 두 항이 모두 연관되어있는 cot가 조작하기 더 편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우리는 바로 cot를 구하고, 이걸로 csc를 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2) cot²x의 유한 급수 만들기
우리가 원하는 건
1) $ \cot^2 x $가 임의의 유한한 항 $ m $에서 급수 형태로 나타날 것
2) 그 급수의 모든 항을 더한 값을 구할 것
자, 일단 '뭔가 유한항 내에서 더해지는 형태'를 만들 수 있는 방법이 무엇일까요?
항 두 개를 이용한 거듭제곱을 전개하면 바로 두 항의 덧셈이 펼쳐지지 않을까요? 이걸 삼각함수로 구현하는 공식이 바로 드무아브르 공식입니다.(드무아브르 공식이 궁금하시다면? 삼각함수의 3배각 공식(삼중각 공식) 증명(feat 오일러&드무아브르 공식))
그럼 지수항은 어떻게 정의해야 할까요? 현재 우리는 단순 $ \cot x $가 아니라 $ \cot^2 x $를 구하기 때문에, 곱셈공식에서 곱해지는 지수는 임의의 m항에 대해 2m이 되어야 할 것입니다. 또한 cot를 조작하기 쉽도록 홀수 지수가 유리합니다. 이 조건들을 고려하면 지수는 '2m+1'이 가장 적절해 보입니다. 뭐, 일단 아무 생각 없이 고른 것도 아니니 한번 적용해보고 틀리면 수정해보죠. 인생은 트라이 앤 에러입니다.
자, 드무아브르 공식을 전개해볼까요?
\begin{align}
(\cos x + i \sin x)^{2m+1} = \cos((2m+1)x)+i\sin((2m+1)x)
\end{align}
이항정리로 전개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begin{align}
(\cos x + i \sin x)^{2m+1} = \sum_{k=0}^{2m+1} \binom{2m+1}{k} i^k \cos^{2m+1-k} x \sin^k x
\end{align}
현재 $ \cot^2 x$를 찾는데 실수부의 cos 지수는 홀수라 조금 힘드니, 허수부를 가지고 조작을 해야겠네요. 허수부만 모아보면 (양변의 허수 단위 i는 제거했습니다):
\begin{align}
\sin((2m+1)x) = \binom{2m+1}{1}\cos^{2m}x\sin x - \binom{2m+1}{3}\cos^{2m-2}x\sin^3 x + \cdots
\end{align}
이제 좀 실마리가 잡힌 것 같습니다. 양변을 $ \sin^{2m+1} x $로 나누면,
\begin{align}
\frac{\sin((2m+1)x)}{\sin^{2m+1} x} = \binom{2m+1}{1}\cot^{2m} x - \binom{2m+1}{3}\cot^{2m-2} x + \cdots
\end{align}
이야 이걸로 $ \cot^2 x$에 대해 m이 한 항씩 줄어드는 '유한 급수'식을 만들어 냈네요! 후.. 길었습니다.
3) 유한 급수의 합 구하기
그런데 여기서 또 하나의 문제... "다 더한 값을 구할 것"
우와... 진짜 산 넘어 산이네요.. 근데.. 잘 보세요!
\begin{align}
\frac{\sin((2m+1)x)}{\sin^{2m+1} x} = \binom{2m+1}{1}(\cot^{2} x)^m - \binom{2m+1}{3}(\cot^{2} x)^{m-1} + \cdots
\end{align}
요렇게 보는 관점만 조금 바꿔주면 우항은 계수가 $\binom{2m+1}{k}$인 $ \cot^2 x $에 대한 m차 다항식이 됩니다. 그리고 우리가 잘 아는 부분이죠? 근과 계수의 관계(Viete's rule)를 쓰면, 모든 근의 합을 계산할 수 있다는 사실!
그럼 근과 계수의 관계를 쓰기 위해 좌항을 0으로 만들어 방정식을 세워보죠. $ \sin \theta = 0 $인 $ \theta = r\pi $이므로,
\begin{align}
(2m+1)x = r\pi \implies x = \frac{r\pi}{2m+1}
\end{align}
즉, x에 이 값을 넣어주면 좌항은 0이 되어버립니다. (단, r=0인 경우는 cot(0)이 정의되지 않으므로 r=1부터 시작합니다.)
이제 $y = \cot^2 x$라고 생각하고 근과 계수의 관계를 적용합시다. $m$차 방정식 $a_m y^m + a_{m-1} y^{m-1} + \cdots = 0$에서 모든 근의 합은 $-\frac{a_{m-1}}{a_m}$ 입니다.
우리 식의 계수는 $ a_m = \binom{2m+1}{1} $ 이고 $ a_{m-1} = -\binom{2m+1}{3} $ 이므로,
\begin{align}
\text{모든 근의 합} = -\frac{-\binom{2m+1}{3}}{\binom{2m+1}{1}} = \frac{\binom{2m+1}{3}}{\binom{2m+1}{1}} = \frac{\frac{(2m+1)(2m)(2m-1)}{3\cdot 2\cdot 1}}{2m+1} = \frac{m(2m-1)}{3}
\end{align}
이 방정식의 근들은 $x = \frac{r\pi}{2m+1}$일 때의 $\cot^2 x$ 값들이므로, 그 근들의 합은 좌변을 0으로 만드는 모든 경우(r=1부터 m까지)를 다 표현해주어야 합니다. 결론적으로,
\begin{align}
\sum_{r=1}^{m} \cot^2\left(\frac{r\pi}{2m+1}\right) = \frac{m(2m-1)}{3}
\end{align}
이렇게 쓸 수 있습니다. 이제 샌드위치를 만들 모든 재료 준비가 끝났습니다.
3. 샌드위치 조립하고 꾹 누르기!
이제 모든 것을 합쳐봅시다.
1) 1단계의 '마법 부등식'에 $x = \frac{r\pi}{2m+1}$ (단, $r=1, 2, \dots, m$) 값들을 대입하고 $m$개만큼 모두 더해줍니다.
\begin{align}
\sum_{r=1}^{m} \cot^2\left(\frac{r\pi}{2m+1}\right) < \sum_{r=1}^{m} \frac{1}{\left(\frac{r\pi}{2m+1}\right)^2} < \sum_{r=1}^{m} \csc^2\left(\frac{r\pi}{2m+1}\right)
\end{align}
2) 가운데 항을 우리가 원하는 $\sum \frac{1}{r^2}$ 모양이 나오도록 정리하고, 양쪽 항에는 2단계에서 구한 값과 삼각함수 공식($\csc^2x = \cot^2x + 1$)을 이용해 값을 채워 넣습니다.(+1이 +m이 되는건 m번 더하는 시그마 기호 때문이죠~)
\begin{align}
\frac{m(2m-1)}{3} < \frac{(2m+1)^2}{\pi^2} \sum_{r=1}^{m} \frac{1}{r^2} < \frac{m(2m-1)}{3} + m
\end{align}
3) 마지막으로, 가운데에 우리가 구하려는 합만 남도록 부등식 전체를 $\frac{\pi^2}{(2m+1)^2}$로 곱해줍니다.
\begin{align}
\frac{\pi^2}{3}\frac{2m^2-m}{4m^2+4m+1} < \sum_{r=1}^{m} \frac{1}{r^2} < \frac{\pi^2}{3}\frac{2m^2+2m}{4m^2+4m+1}
\end{align}
4) 이제 샌드위치를 꾹 눌러봅시다! 즉, $m$을 무한대($m \to \infty$)로 보냅니다.
- 맨 왼쪽(아래쪽 빵)의 극한값: $\frac{\pi^2}{3} \cdot \frac{2}{4} = \frac{\pi^2}{6}$
- 맨 오른쪽(위쪽 빵)의 극한값: $\frac{\pi^2}{3} \cdot \frac{2}{4} = \frac{\pi^2}{6}$
양쪽의 극한값이 모두 $\frac{\pi^2}{6}$으로 수렴합니다!
따라서 샌드위치 정리에 의해, 그 사이에 끼어있던 값의 극한 역시 $\frac{\pi^2}{6}$이 될 수밖에 없습니다.
\begin{align}
\sum_{n=1}^{\infty} \frac{1}{n^2} = \frac{\pi^2}{6}
\end{align}
4. 결론: 가장 '초등적인' 증명
이 증명 과정을 보고 "이게 어떻게 가장 쉬운 방법이냐!"라고 생각하실 수도 있습니다. 맞습니다. 각 단계는 결코 간단하지 않으며 매우 기발한 아이디어를 필요로 합니다.
하지만 수학자들이 이 증명을 '초등적(elementary)'이라고 부르는 이유는, 복소해석학이나 푸리에 분석 같은 더 고등수학 분야의 강력한 이론을 빌려오지 않고, 고등학교 과정에서 배운 개념(삼각함수, 다항식, 극한, 샌드위치 정리)만을 차곡차곡 쌓아 올려 만든 증명이기 때문입니다.
마치 두 친구가 양쪽에서 당신의 손을 잡고 한 점으로 다가올 때, 당신 역시 그 점으로 갈 수밖에 없는 것처럼, 이 증명은 우리가 구하려는 값을 양쪽에서 논리적으로 꽉 조여서 답을 찾아내는 아름다움을 보여줍니다.
'Study > Mathemati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연수를 무한히 더한(1+2+3+4+…) 값은 사실 -1/12이었다!? (0) | 2025.09.01 |
---|---|
감마함수(Gamma function)란 무엇인가? ~ 오일러, 또 당신이에요? ~ (0) | 2025.08.17 |
Golden: Huntr/x(헌트릭스) 말고 Ratio(비) (0) | 2025.08.12 |
제곱근의 값은 어떻게 구할까?[개평법, 바빌로니아법, 뉴턴-랩슨법] (0) | 2025.08.10 |
삼각함수의 일반각(18도, 36도) 구하기 (0) | 2025.08.08 |